Page 66 - 2022 멘토링 우수사례집
P. 66

멘토링 개별 활동이 5회기 정도 지났을 때, 수진

                                          멘토는  자신의  멘티는  아무  말  없이  단답형으로
                                          대답하고, 멘토링 활동에 흥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며

                                          고민을 털어놓았다.
                                            그  고민에  대해  나는  단답형의  대답을  떠나서

                                          멘티와의 만남 속에서 멘티가 약속을 잘 지키고 개별

                                          활동에 참여해주는 것 자체가 멘토에게 관심이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해주었다. 또한 수진 멘토는 지금도

                                          충분히 멘토링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고민하는 것에 감사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후에도 수진 멘토는 멘토링 과정에서의 어려웠던 것들을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겪으며 멘토링 코디네이터가 멘토의 멘토 같다는
                            이야기를 해주었다.

                              멘토링 코디네이터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운영 전반에 대한

                            설계도 중요하지만 멘토들이 얼마나 즐겁게 활동할 수 있을까, 멘토의
                            고민이 무엇인가 등 멘토 개개인에 대한 격려와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아직도 코디네이터로서 부족한 것이
                            많다고 느낀다. 멘토-멘티가 원활한 개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어떤

                            밑바탕이 되어줄까 하는 고민은 현재진행형이다. 하지만 이것 하나는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멘토링 코디네이터는 멘토-멘티가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영양분이

                            되어주어야 한다는 것을.







            64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