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 2022 멘토링 우수사례집
P. 91
Part
편한 분위기를 형성했다. 2
개별 멘토링 시간마다 멘티의 관심을 토대로 멘티의 성향, 가치관, 습관
등 멘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기 시작했다. 멘티와의 2
0
2
‘합의’를 통해 어떤 멘티에게는 진로 상담을, 어떤 멘티에게는 진학 상담을 2 멘 토 링
하며 멘티가 지금 당장 가장 필요하고 중요한 것을 충족시키는 것에 많은
수 기
도움을 주고자 노력했다.
· 영
상
진
· 사
우리의 진심과 노력이 아이들에게 닿았는지, 아이들은 멘토링에서 전과 •
공 전 모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멘토링에 빠지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진심은
의견을 물을 때면 적극적으로 대답하며 멘토링에 대한 본인의 의사를 통한다 –
표현하기 시작했다. 활동이 마무리될 무렵에는 더 말하고 싶은 것이 있다며 변하고
추가적으로 조사한 자료와 근거를 바탕으로 본인의 의견을 피력하기도 성장하는
했다. 아이들
개별 멘토링 시간에는 본인의 고민을 더 이상 숨기지 않고 드러내며,
본인만의 취미를 자랑하고 공유하곤 했다. 우리에게 마음을 열고 자신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며 멘토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첫 시작엔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우리가 진행하는 멘토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가 현재 멘티들이 우리에게
보이는 활기찬 모습인 것 같다. 우리는 흔히 청소년들을 우리 사회의
미래라고 한다. 청소년들이 현재 사회를 이끌어나가는 청년 세대에 이어
경제를 활성화시킬 주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청소년들을 과연 제대로 된 경제 주체라고 할 수 있을까? 우리는 이 질문에
‘아니오’라고 대답했다.
89